Windows 2008 R2 Hyper-V에서 클러스터 테스트 환경 구성 2
SQL Server
2010. 10. 26. 14:09
1탄(Windows 2008 R2 Hyper-V에서 클러스터 테스트 환경 구성 1)에 이어 계속되는 글입니다.
단계 4. Cluster 구성2
- Node1로 가서 서버 관리자에서 기능 – 기능 추가를 선택합니다.
- 장애 조치(failover) 클러스터링을 체크 후 "다음"을 클릭해 설치합니다. 이 방식으로 Node2도 설치를 합니다.
- 다시 Node1으로 가서 장애 초치 클러스터를 생성합니다.
- 서버 이름을 입력 후 "추가" 버튼을 누르면 서버가 추가됩니다. Node1 , Node2를 추가한 후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.
- 다음 단계에서 모든 유효성 검사를 하도록 선택후 "모든 테스트 수행"을 합니다. 단계를 넘어가다 보면 아래처럼 각 노드에서 유효성 검사를 진행합니다. 디스크를 아직 구성하지 않아 몇개 경고가 나오지만 무시합니다.
- 클러스터 이름과 IP를 입력합니다. 저는 이름은 CWIN2K8R2-Node , IP는 192.168.1.10으로 하였습니다.
- 이제 클러스터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.
- 서버 관리자를 다시 실행한 다음 클러스터 관리로 들어가 봅니다. 네트워크 이름을 클릭해 오른쪽에 보이는 서브넷을 보고 public , private으로 이름을 조정해 줍니다. (안그러면 나중에 햇갈려요~)
- 이 네트워크 이름에서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해 속성을 보면, public 네트워크에서는 "클라이언트가 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할 수 있음"이 체크되어 있고, private 네트워크에서는 이 체크가 지워져 있어야 합니다.
- 이제 클러스터에서 사용한 디스크를 구성해야 합니다. 디스크는 SAN이 없기 때문에 Microsoft iSCSI Software Target을 이용해 구성하도록 하겠습니다. 저는 이 파일을 다음 윈도우 ISO 파일에서 찾았습니다. "mu_windows_storage_server_2008_r2_embed_stand_ent_work_iscsi_software_target_3.3 _x64_dvd_587719.iso"
- DISK를 구성할 장비에서 프로그램 설치 후 "관리도구 – Microsoft iSCSI Software Target"을 실행합니다. 저는 Win2K8R2-AD 장비에 설치 하였습니다.
- iSCSI 대상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여 iSCSI 대상 만들기를 실행 합니다.
- iSCSI 대상 이름을 정합니다. 저는 "iSCSIDISK"로 정했습니다.
- iSCSI 초기자 ID는 고급 버튼을 클릭해 IP를 입력하도록 합니다. 이 단계는 생성한 Disk에 아무 장비나 붙으면 안되기 때문에 붙을수 있는 장비를 지정해 주는 단계입니다.
- 추가 버튼을 누르면 새창이 뜨고, ID 유형은 "IP주소"로 값에는 Node1의 IP를 입력합니다.
- Node2번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Node1, Node2의 IP가 모두 등록되도록 합니다.
- 확인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면 아래처럼 iSCSIDISK가 생성된 것을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이번에는 장치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 "가상 디스크 만들기"를 합니다.
- DISK가 위치할 경로를 입력합니다. 먼저 쿼럼용 디스크를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- 사이즈는 1GB 정도로 잡아 봅니다.
- 디스크 설명은 대충 "Quorum"이라고 입력하고 넘깁니다.
- 다음 단계로 방금 만든 DISK는 우리가 전단계에서 생성한 iSCSIDISK에서 액세스 할 수 있도록 선택합니다.
- 이 장치 추가 단계를 통해 DTC와 SQL용 DISK 를 추가합니다. 잘 추가되면 iSCSIDISK를 클릭했을때 오른쪽에 아래와 같이 추가된 내용이 보이게 됩니다.
- 이제 디스크 준비는 완료 되었습니다. 다음은 Node1, Node2에서 방금 생성한 디스크를 연결하도록 하겠습니다.
- Node1로 가서 "관리 도구 – iSCSI 초기자"를 실행 합니다.
- 검색 탭에서 "포털 검색"을 클릭합니다.
- DISK를 생성한 AD장비의 IP를 입력한 다음 확인버튼을 누릅니다.
- 대상 탭에서 "연결"버튼을 누릅니다. 새창이 뜨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상태 부분이 "연결됨"으로 변경됩니다.
- Node2로 가서 동일하게 iSCSI 초기자를 이용하여 디스크를 연결합니다.
- 다시 Node1의 서버 관리자로 돌아와서 "저장소-디스크 관리"를 보면 추가한 3개의 디스크가 보이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각 디스크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 온라인, 디스크 초기화, 새 단순 볼륨 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이 구성 하였습니다.
- 이번에는 준비된 Disk를 클러스터 리소스로 추가해야 합니다. 클러스터 저장소에서 "디스크 추가"를 실행합니다.
- 클러스터 디스크 1~3까지 보이는것을 확인 후 "확인" 버튼을 누릅니다.
- 이제 클러스터 리소스에 디스크가 추가 되었습니다. 저는 클러스터 디스크 1,2,3이라고 등록된 이름을 좀 더 보기좋게 변경 하였습니다.
- 클러스터 이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 "기타작업 – 클러스터 쿼럼 설정 구성"을 실행합니다.
- 쿼럼 구성 선택. 저는 "노드 및 디스크 과반수"를 선택 하였습니다. 아래쪽의 "쿼럼 구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" 링크를 통해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쿼럼 디스크를 선택해 줍니다.
- 다음~ 다음~ 해 주시면 쿼럼 구성이 완료 됩니다.
- 다음은 DTC 구성을 하겠습니다. "서비스 및 응용 프로그램 – 서비스 또는 응용 프로그램 구성"을 실행합니다.
- DTC를 선택한 다음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.
- DTC이름과 IP를 입력합니다. 저는 이름을 CWIN2K8R2-DTC , IP를 192.168.1.11로 주었습니다.
- DTC 디스크를 선택 후 다음 단계로 진행합니다.
- 이제 DTC 구성이 완료 되었습니다.
- 서비스 및 응용 프로그램 – CWIN2K8R2-DTC 에서 마우스 오른쪽버튼을 클릭해 리소스가 잘 넘어가는지 한번 테스트 해 봅니다.
- 리소스가 잘 넘어가면 현재 소유자가 Node2가 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단계 5. SQL 설치
- 먼저 설치할 SQL Server 이미지 또는 DVD가 필요합니다.
- 클러스터 구성 단계에서 IP를 설정하면서 WIN2K8R2-AD 노드의 Internal network를 192.168.0.50으로 설정해 두었습니다. Host 장비의 네트워크를 보면 internalNetwork라는게 있습니다. 여기와 IP 대역을 맞춰주면 HostPC와 guestPC간에 통신을 할 수 있게 됩니다.
- 이 네트워크의 IP를 192.168.0.253으로 맞춰 줍니다. 게이트웨이나 DNS는 필요 없습니다.
- 이제 host PC에서 guest PC로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가 구성 되었습니다. Host PC에서 "\\192.168.0.50\c$" 이런식으로 WIN2K8R2-AD 장비로 네트워크 접근이 되는지 확인합니다. 물론 Node1 , Node2에 각각 Internal network를 구성하여 사용해도 상관없을듯 합니다~
- SQL Server를 설치하려면 .Net 3.5가 필요한데요. 기능추가를 하셔서 .Net Framework 3.5.1을 설치해 줍니다.
- 이제 SQL Server를 설치할 차례입니다. SQL Server 2008 부터는 클러스터 설치시 첫번째 Node를 설치 후 나머지 Node를 Add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됩니다. 먼저 Host PC에서 Node1의 설정으로 갑니다. (나중에 Node2는 Add하여 설치할 예정임)
- 저는 이미지를 준비해서 이미지 파일을 선택해 주었습니다. 이제 Node1 장비의 DVD-ROM에 SQL Server이미지 파일이 들어갔습니다.
- SQL Server 설치 전에 클러스터 저장소에서 SQL Disk가 설치하려는 장비인 Node1으로 가 있는지를 확인합니다.
- 만일 Node2번으로 가 있다면 Node2번의 클러스터 서비스를 중지해서 강제로 Node1로 Disk 리소스가 넘어가도록 합니다.
- 드디어 Setup을 시작하고.. "SQL Server 장애 조치 클러스터 새로 설치"를 선택합니다.
- 설치 지원 규칙 체크 완료
- 제품키 입력
- 사용권 계약서 동의
- 설치 지원파일 설치
- 설치 지원 규칠 체크 완료
- 기능 선택. 저는 그냥 엔진과 관리도구만 설치합니다.
- SQL 네트워크 이름을 지정해 줍니다. 저는 대충 CSQL이라고 지었습니다. 혹시 클러스터를 Active-Active로 하실 예정이라면 인스턴스명이 충돌되지 않도록 지정해 주는게 좋겠죠? ㅎㅎ
- 클러스터 리소스 그룹 이름 설정이 나옵니다. 저는 그냥 디폴트로 두었습니다.
- 클러스터 디스크로 SQL_Disk를 선택해 줍니다.
- 네트워크 구성에서는 DHCP체크를 지워주고 고정으로 192.168.1.12를 입력해 줍니다.
- 보안 정책은 도메인에서 SQLAdmins 그룹을 하나 생성해서 설정 하였습니다.
- 서비스 시작 계정은 귀찮으니 모든 SQL Server 서비스에 동일한 계정 사용으로 할당 했습니다. sqlStarter라는 계정은 이전 단계의 SQLAdmins 그룹에 들어있는 계정입니다. (꼭 SQLAdmins 그룹의 멤버여야 합니다.)
- 혼합모드 인증을 선택 후 암호를 입력해 줍니다. 또, "현재 사용자 추가"버튼을 눌러 관리자 지정을 해 줍니다. 데이터 디렉토리 설정이 필요한 경우 탭을 선택하셔서 설정해 줍니다. 저는 그냥 디폴트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. (테스트 환경인데 귀찮습니다; ^^; )
- 이제 다음, 다음 하셔서 사뿐히 규칙 검사를 통과하시면 SQL 설치가 시작됩니다. 설치를 해보시면 stand alone으로 설치를 할때보다 시간이 좀 더 오래 걸리는듯 합니다.
- 설치가 완료되면 "서비스 및 응용 프로그램"에서 SQL Server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현재 Node1에 와 있고 아래쪽에 리소스들이 "온라인" 상태인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이제 다른 노드를 설치할 차례입니다. Node2로 가서 클러스터 노드 추가를 선택해 설치합니다.
- 가볍게 "설치 지원 규칙"을 통과하고..
- 제품 키 입력
- 사용권 계약
- 설치 지원 파일 설치
- 설치 지원 규칙 통과
- 클러스터 노드 구성에서는 인스턴스 이름이 디폴트 인스턴스명이고, 현재 노드는 Node2번인 것을 확인합니다.
- 서비스 계정 설정에서 암호를 입력 후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.
- 다시 한번 규칙 검사를 마치고 나면 "장애 조치 클러스터 노드 추가" 작업이 진행됩니다.
- 노드 추가가 완료되고 나면 "서버 관리자"에서 클러스터 노드를 이동시켜 봅니다.
- 정상적으로 노드 이동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합니다. 저는 Node1 -> Node2로 잘 이동된 것을 확인 하였습니다
헥헥. 겨우 끝났다~~ 졸라 힘들어요~
하만철 / Ha Man cheol